화성은 조선조 제22대 정조대왕이 1794년(정조 18년) 1월에 착공하여 2년 9개월 후인 1796년 (정조 20년) 9월에 완공하였다. 정조대왕은 그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수원 화산으로 옮기고 부근에 용주사를 세워 부왕의 명복을 빌었다. 당시 화산 아래에 있던
관청과 민가를 팔달산 아래로 모두 이전시키고 수원부를 유수부로 승격시킨 것이 현재의 수원이다.
화성의 축성은 역대의 걸작으로 알려져 있다.
성의 시설물은 41개소이며 미복원 시설물은 7개소이다. 210여년전에 축조된 화성은 가장 근대적인 규모와 기능을 갖추고 있다.
팔달문..화성을 출입하는 4개의 관문중의 하나이며 팔달문과 장안문이 각각 남북의 정문으로서 석축으로된 무지개문 2층에 문루가 세워져
있고 벽돌로 쌓은 반원형 옹성이 문을 둘러 싸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팔달문에서 좌측 남포루를 먼저 오른다. 남포루를 오르며 바라본 팔달문과 주변의 모습
남포루 지붕위의 잡풀들..
서남암문의 측면
서남암문
서남암문을 통하여 갈 수 있는 화양루 가는 길.
화양루
서삼치..치란 일정한 거리마다 성곽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오도록한 시설물로서 성벽 가까이에 접근하는 적군을 공격하기 위한 시섬물로
화성에는 10개의 치가 있다.
서포루.. 포루는 성곽을 돌출 시켜 만든 치성 위에 지은 목조건물이여 초소나 군사대기소와 같은 곳이다.
효원의종
효원의 종 앞에 관광안내소가 있는데 수원사람이 아닌 사람들은 입장료 1,000원을 내야 한다.
서장대..
장대는 모두 2개소가 있는데 서장대는 팔달산 정상에서 성 주변을 살피면서 군사를 지휘하던 곳이다. 사방 100리가 한눈에 보이는 이곳은
화성의 군사지휘본부로 일명 화성장대라고도 한다.
서암문,. 암문은 성곽의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적이 알지 못하도록 출입구를 내어 사람이나 가축이 통과하고 군수품을 조달하기 위하여
설치된 문으로 화성에는 5개의 암문이 설치되어 있다.
서노대.. 쇠뇌를 쏘던 방어시설로 산 정상부에 위치하였고 화성에는 2개의 노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중 동북노대는 서노대가 성벽 안쪽에
만들어진 것과는 달리 치성 위에 벽돌을 쌓아 만들었다.
서장대에서 바라보는 수원시가지의 중앙으로 성벽의 모습이 보인다.
서장대에서 당겨본 수원화성
툭 튀어나온 서이치의 모습
서포루..서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중 서북각루와 서장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공심돈과 화서문
화서문에 올라 바라본 북포루
화서문 천장의 청룡 단청.
화서문은 화성의 4대문중 서쪽 대문으로 1795년 7월 21일 공사를 시작하여 1796년 1월 8일 완성하였다. 화성 서쪽의 남양만, 서해안 방면으로 연결되는 통로로서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간작하고 있어 보물 제 403호로 지정되어 있다. 편액은 초대 화성 유수였던 채제공이 썼으며 옹성안 좌측 석벽에서는 성문 공사를 맡은 사람들과 책임자들을 기록한 공사 실명판이 있다.
서북 공심돈..군사가 안으로 들어가서 적을 살릴 수 있게 만든 망루의 일종으로 동북공심돈은 화성에서 가장 특이한 건물 가운데 하나로 중국
요동 지방에 있는 평돈(平墩)을 모방하여 벽돌로 동그랗게 돈대를 쌓아 만들었다.
화서문과 북포루, 북서포루
북서포루
장안문
장안문과 북서적대
장안문은 화성의 4대문 중 북쪽대문으로 정문이라 할 수 있다. 장안이라는 말은 수도를 상징하는 말이자 백성들의 안녕을 상징하는 의미이다. 장안문 누각의 지붕은 우진각 지붕으로 웅장함을 주고 있으며 서울의 국보1호 숭례문보다도 큰 문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성문이다.
성문의 바깥에는 반원형의 옹성을 쌓았는데 이것은 항아리를 반으로 쪼갠것과 같다고 해서 붙인 이름으로 성문을 보호하는 역활을 한다.
장안문 앞에서 안내인이 한컷.
북동치
장안문과 다리
동북포루와 방화수류정
북수문 화홍문
화성을 가로질러 흐르는 수원천의 북쪽에 세운 수문을 말하며 편액은 화홍문이라 하였다.
다양한 기능과 견고함에 멋진 외관까지 함께 갖춘 북수문은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당대의 대표적 시설물이었다.
북암문
방화수류정
동북포루
암문위
동북포루
관광용 화성열차
연무대 뒷편
국궁장과 동북공심돈
연무대(동장대)
동북공심돈
동북공심돈 올라가는 대문
창룡문
동북공심돈에서 바라본 연무대
창룡문
봉돈.. 비상사태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통신시설로 봉돈은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벽돌로 쌓고 그 위에 5개의 화두를 쌓았으며 성벽에 총구멍을 뚫어 적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팔달문부터 시작하여 화성 둘러보기 마지막에 있는 동남각루의 모습
동남각루를 내려오며 건너편을 올려다 보니 처음 올랐던 팔달문과 남포루 가는길이 뚜렸하다.
동남각루의 성벽.
산딸나무
일요일 수원 모 호텔에서 칠순잔치가 있어 아침부터 수원에 도착했다. 12시부터 3시까지 잔치라고 하는데 잔치만 보고 귀가하기에는 아쉽다.수원까지 오기가 쉽지않은데 화성을 둘러보려고 카메라는 들고 왔는데 신발이 구두라서 약 3시간 걷는게 산행 6시간은 한것과 같은
다리의 무리가 온다. 화성을 둘러싸고 있는 바닥은 전부 콘크리트 길이다. 옆에 잔디밭은 밡으면 안될것이고.. 운동화를 신었다면 널럴하게
구경하는건데.. 그래도 비가 오지 않아서 일요일을 유용하게 활용하고 둘러보고 싶던 화성을 둘러보니 숙제 한가지 마친 느낌이다.
저녁까지 있었다면 야경도 보고 싶었는데 하루 일정이 너무 피곤해서 저녁까지 버티기는 무리..
수원역에 도착하니 노무현 대통령 추모1주기 행사로 온통 노랑 풍선의 물결이다. 8시부터 추모제라고 하는데 이또한 2시간을 기다려야하니
전시되어있는 사진만 잠시 둘러보고 역으로 향한다.
찐한 피로감이 물려 온다. 이렇게 또 하루를 살았다..
'여행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도, 시도, 모도(중년의 봄소풍) (0) | 2011.05.03 |
---|---|
장봉도 (1) | 2011.04.14 |
DMZ 트레킹코스 182Km 걷는다 (0) | 2010.04.19 |
아들 호주에서.. (0) | 2009.09.30 |
비둘기낭폭포(경기 포천) (0) | 200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