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충렬사는 임진왜란이 끝나던 해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와 넋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노량충렬사라고도 한다.
통영의 충렬사와 함께 ‘충열’이란 현판을 처음부터 같이 사용해 왔으며 인조 때 지어졌다. 충무공이 전사한 후 그의 시신이 한 때 이곳에 모셔졌는데 인조 10년(1632) 유림들이 옛 터에 작은 집을 짓고 제사를 지냈던 것이 최초의 사당이다.
충무공이 순국한지 60년이 되던 효종 9년(1658)에 좁고 초라한 옛집을 헐고 새집을 지었다. 그 후 현종 4년(1663)에 통영 충렬사와 함께 임금이 내려준 현판을 받게 되었다. 이런 사실들을 기록한 충무이공묘비가 사당 곁에 있으며, 비문은 현종 2년(1661)에 송시열이 썼고, 1663년에 박경지 등이 세운 것이다.
옛날에는 이 사당 곁에 호충암이란 암자가 있었는데, 화방사의 승려 10명과 승장 1명이 번갈아 와서 사당을 지켰다고 한다. 또한 공이 죽은 후 자운이란 승려가 공을 사모하여 쌀 수백섬을 싣고 와서 공을 위해서 제사를 지낸 것으로도 유명한데 자운은 원래 충무공의 밑에 있던 승병이었다. 충렬사는 충무공의 노량 앞바다를 지키고 있는 수호신의 사당이라 할 수 있다.
경내에는 비각·내삼문·외삼문·관리사 등이 있고 사당 뒤의 정원에는 충무공의 시신을 임시 묻었던 자리에 묘가 남아 있으며, 1948년 정인보가 쓴 충열사비가 있다.
남해를 바라보고 있는 충렬사의 안내소
충령사 안의 비각은 공사중으로 천으로 감싸 놓은 볼수가 없었다.
충령사에서 바라보는 남해에 두둥실 떠 있는 거북선.. 이것은 전시관으로 사용되는듯 하다.
저녁에 남해대교 아래 마을에서 1박을 하고 아침에 일어나니 날씨가 차갑다. 아무래도 남쪽이라 하나 바닷바람탓인듯 하다.
숙박지 바로 옆에 충렬사가 있더 둘러 보고 순천으로 이동한다.
'여행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암사 (0) | 2012.12.05 |
---|---|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 순천만 (0) | 2012.12.04 |
우포늪 (0) | 2012.07.02 |
납덕골 벽화마을과 수리사 (0) | 2012.04.25 |
한반도지형 선암마을과 선돌 (0) | 2011.08.09 |